背景技术:
[0002]최근, 각종 화상 표시 장치의 디스플레이의 박형화, 경량화 및 플렉시블화 등에 따라, 종래 이용되고 있던 유리를 대신하는 재료로서, 폴리이미드나 폴리아미드 등의 고분자에 기초한 투명 수지 필름이 널리 이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투명 수지 필름의 제조 방법의 하나로서 캐스트법(용액 유연법(流涎法))이 알려져 있다. 캐스트법에서는, 일반적으로, 용매에 용해시킨 폴리이미드 등의 고분자를 포함하는 바니시를 지지체 상에 도포하여 제막(製膜)하고, 지지 기재(基材)를 박리한 후, 건조에 의해 용매를 제거함으로써, 수지 필름을 연속적으로 성형할 수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0003]또한, 투명한 폴리이미드계 필름을 얻는 경우, 재이용을 전제로 한 SUS 등의 금속제의 지지체를 이용하는 경우도 있지만, 지지체의 품질 관리나 비용의 면에서, 일회용을 전제로 한 수지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지지체를 이용하는 경우도 있다.
선행기술문헌
[0004]일본공개특허 특개평10-310639호 공보
해결하려는 과제
[0005]실제의 캐스트 제막 장치에 있어서, 수지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지지체 상에 폴리이미드계 고분자를 함유하는 바니시를 도포할 때에, 지지체를 감은 지지체 롤로부터 지지체를 조출(繰出)하고, 몇 개의 가이드 롤을 통과시킨 후에, 바니시 도공 부위로 이동한다. 그러나, 가이드 롤은 금속제의 것이 많고, 그 표면에 가이드 롤 제작 시에 생긴 상처가 있는 것도 존재한다. 또한, 제막 장치의 청소 시나, 제막 장치 가동 중에 가이드 롤 표면에 상처를 생기게 하는 경우도 있다. 가이드 롤 표면에 상처가 있는 경우에, 그 상처가 지지체 표면에 전사되고, 그것이 바니시 도공 공정에서 형성된 폴리이미드계 필름에 전사되어버리는 경우가 일어난다. 당연히, 화상 표시 장치 등에 사용되는 폴리이미드계 필름에서는, 표면에 상처 등이 있는 것은, 시인성의 악화나 품질 저하의 원인이 되므로, 회피하지 않으면 안 된다.
[0006]지지체는, 지지체 롤로부터 가이드 롤을 수 개를 거쳐, 상기 바니시의 도공이 행해지는데, 상기 바니시 도공면뿐만 아니라 그 이면에도 접촉하고, 그 경우 마찬가지로 가이드 롤 표면의 상처는 지지체의 이면에도 이행된다. 그것이 도공 후에 다시 도공 필름을 롤 형상으로 권취하였을 때에, 도공한 폴리이미드계 필름 상에 접촉하는 것이 되며, 그 경우에 역시 가이드 롤 표면의 상처가 지지체를 경유하여 폴리이미드계 필름 표면에 전사되는 경우도 있는데, 이것도 방지되지 않으면 안 된다.
[0007]따라서, 본 발명자들은, 가이드 롤 표면의 상처가, 지지체를 경유하여 폴리이미드계 필름 표면에 전사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술을 발견했다.
과제의 해결 수단
[0008]즉, 본 발명에는, 이하의 양태가 포함된다.
[0009][1] 제 1 면과 제 2 면을 가지는 지지체와, 당해 지지체의 제 1 면 상에 형성된 제 1 하드 코팅층과, 상기 제 1 하드 코팅층 상에 박리 가능하게 적층된 투명 수지 필름층과, 당해 지지체의 제 1 면의 반대측의 제 2 면 상에 형성된 제 2 하드 코팅층으로 이루어지는 적층체.
[0010][2] 상기 제 1 하드 코팅층과 투명 수지 필름층과의 밀착력이, 0.02N/10㎜ 이상인 [1] 기재의 적층체.
[0011][3] 상기 지지체가, 수지 필름인 [1] 또는 [2] 기재의 적층체.
[0012][4] 상기 지지체가, 양면에 하드 코팅층을 가지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 시클로올레핀계 필름, 아크릴계 필름,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필름, 폴리프로필렌 필름,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필름 중 어느 것인 [1]~[3] 중 어느 것에 기재된 적층체.
[0013][5] 상기 지지체는, 상기 제 1 하드 코팅층의 표면의 JIS B 0601-2001에 규정하는 산술 평균 조도(Ra)가 0.01㎛ 이하인 [1]~[4] 중 어느 것에 기재된 적층체.
[0014][6] 상기 지지체는, 상기 제 1 하드 코팅층의 표면의 JIS B 0601-2001에 규정하는 최대 높이(Rz)가 0.1㎛ 이하인 [1]~[5] 중 어느 것에 기재된 적층체.
[0015][7] 상기 투명 수지 필름이, 폴리이미드계 필름인 [1]~[6] 중 어느 것에 기재된 적층체.
[0016][8] 상기 투명 수지 필름이, 헤이즈 1% 이하, 전(全)광선 투과율 85% 이상, 옐로 인덱스 4 이하를 가지는 폴리이미드계 필름인 [1]~[7] 중 어느 것에 기재된 적층체.
[0017][9] [1]~[8] 중 어느 것에 기재된 적층체를 권취(卷取)한 적층체 필름 롤.
[0018][10] a) 투명 수지 필름을 형성하기 위한 수지 조성물을 용매와 혼합 및 교반하여 얻어지는 수지 바니시를, 제 1 면과 제 2 면을 가지고 또한 그 제 1 면과 제 2 면의 양면 상에 하드 코팅층을 마련한 지지체의 제 1 면 상에 형성된 제 1 하드 코팅층의 표면에 도포하는 공정; 및
[0019]b) 도포된 수지 바니시를 건조시킴으로써 용매를 제거하고, 상기 제 1 하드 코팅층 상에 투명 수지 필름층을 형성하는 공정;
[0020]을 포함하는 [1] 기재의 적층체의 제조 방법.
[0021][11] [1]~[8] 중 어느 것에 기재된 적층체로부터 박리하여 얻어지는 투명 수지 필름을 추가로 용매 건조 처리함으로써 얻어지는 윈도우 필름 기재.
[0022][12] [11]에 기재된 윈도우 필름 기재의 적어도 일방의 면에 윈도우 하드 코팅층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윈도우 필름.
[0023][13] [12]에 기재된 윈도우 필름을 포함하는 광학 적층체로서, 상기 윈도우 필름의 일방의 면에, 편광판을 추가로 가지는 광학 적층체.
[0024][14] 상기 윈도우 필름의 일방의 면에, 터치 센서를 추가로 가지는 [13] 기재의 광학 적층체.
발명의 효과
[0025]본 발명에서는, 제 1 면과 제 2 면을 가지는 지지체와, 당해 지지체의 제 1 면 상에 형성된 제 1 하드 코팅층과, 상기 제 1 하드 코팅층 상에 박리 가능하게 적층된 투명 수지 필름층과, 당해 지지체의 제 1 면의 반대측의 제 2 면 상에 형성된 제 2 하드 코팅층으로 이루어지는 적층체이면, 가이드 롤의 표면에 존재하는 상처가, 지지체 표면을 경유하여 투명 폴리이미드계 필름에 전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을 알았다. 지지체의 양면에 하드 코팅층을 형성하는 것만으로, 간편하면서 또한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으므로, 이용 가치가 높다. 또한, 투명한 폴리이미드계 필름의 양면의 상처를 방지할 수 있음으로써, 광의 난반사가 감소하고, 백라이트 등으로 광을 투과시키는 경우에, 백라이트 전력도 삭감할 수 있다.
[0026]또한, 지지체가 수지 필름인 경우, 가열 등의 공정을 거칠 때에 필름으로부터 석출물이 나오는 경우가 있는데, 석출물이 원인으로, 투명한 폴리이미드계 필름의 오염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그러나, 지지체의 양면에 하드 코팅층을 가지면, 그 석출물의 누출이 방지되어, 폴리이미드계 필름의 오염이 사라진다. 또한, 하드 코팅층이 편면에 있는 경우도 존재하지만, 그 경우에는 열 팽창률의 차이에 의해 지지체에 휨(컬)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지만, 지지체 양면에 하드 코팅층을 가질 때에는 그와 같은 컬도 방지할 수 있다.
具体实施方式:
[0028]도 1은, 본 발명의 적층체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며, 도면 중, 1은 지지체를 나타내고, 2 및 4는 하드 코팅층을 나타내며, 3은 투명 수지 필름을 나타낸다. 도 1 중, 지지체(1)와 하드 코팅층(2 및 4)을 가지는 것을 A로 나타내고, A에 추가하여 투명 수지 필름층(3)을 가지는 것을 B로 나타낸다. 투명 수지 필름(3)은, 도 2에 나타내는 투명 수지 필름의 도공 공정(12)에서 도공된다. 도 2에 나타내는 지지체 롤(10)은, 표리면에 하드 코팅층(2 및 4)을 가지는 지지체(1)(도 2에서는 A로 나타내고 있다.)를 권회한 롤이며, 가이드 롤(11)을 개재하여, 도공 공정(12)으로 보내진다. 도 2에는, 가이드 롤(11)을 3개 기재하고 있지만, 실제로는 수 개의 가이드 롤을 거쳐, 도공 공정(12)으로 보내진다. 각 가이드 롤에서는, 어떠한 처리가 이루어지거나, 장력이 부여되거나 한다. 도공 공정(12)에서는, 투명 수지 필름의 바니시가 지지체 A 상에 도공된다. 도 2에서는, 투명 수지 필름이 도공된 것을 B라고 기재하고 있다. 투명 수지 필름이 도공된 후, 프리 건조 공정(13)으로 건조된다. 프리 건조 공정(13)은, 투명 수지 필름(3)을 지지체로부터 박리하기 위해, 투명 수지 필름(3)이 필름 형상을 유지할 정도로 건조하는 것이며, 실제로 화상 표시 장치 등에서 사용되는 투명 수지 필름을 얻을 때에는, 횡연신기 등으로 투명 수지 필름의 폭 방향의 수축을 억제, 혹은 폭 방향으로 연신하면서 건조시키는 본건조 공정이 필요하지만, 그 공정은 도 2에는, 기재하고 있지 않다. 프리 건조된 투명 수지 필름(3)의 지지체(1)(양면에 하드 코팅층(2 및 4)을 가짐)와 반대의 면에 보호 필름 롤(14)로부터 권출된 보호 필름을 형성하여, 5층 권회 롤(15)을 형성한다. 이 3층 권회 롤(15)을 다른 공정에서, 지지체(1)와 보호 필름을 박리하여, 투명 수지 필름(3)만으로 하여, 본건조 공정에 걸쳐 용매를 충분히 제거한 투명 수지 필름을 제조한다.
[0029]지지체
[0030]본 발명의 적층체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면과 제 2 면을 가지는 지지체(1)와, 지지체의 제 1 면 상에 형성된 제 1 하드 코팅층(2)과, 제 1 하드 코팅층(2) 상에 박리 가능하게 적층된 투명 수지 필름층(3)과, 상기 지지체의 제 1 면의 반대측의 제 2 면 상에 형성된 제 2 하드 코팅층(4)으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지지체는, 넓은 표면을 상하(또는, 표리)에 가지는 시트 형상의 필름이며, 일방의 면을 제 1 면이라고 하고, 제 1 면의 반대측의 면을 제 2 면이라고 한다. 본 발명의 지지체는, 하드 코팅층을 제 1 면 및 제 2 면의 양면에 가진다.
[0031]본 발명의 지지체는,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양면에 하드 코팅층을 형성한 것이다. 바람직한 지지체로서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필름, 시클로올레핀계 필름(COP), 아크릴계 필름,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필름, 폴리프로필렌 필름,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필름을 들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한 지지체로서는, PET 필름, 시클로올레핀계 필름이며, 가장 바람직한 지지체는, PET 필름이다.
[0032]본 발명의 지지체의 양면에 형성되는 하드 코팅층은, 특별히 한정적인 것은 아니고, 아크릴계, 우레탄계, 에폭시계의 어느 것이어도 된다. 본 발명에서는, 하드 코팅층은, 양면(제 1 면 및 제 2 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지만, 양면의 하드 코팅층이 동일한 것이어도, 제 1 면(투명 수지 필름층측의 제 1 하드 코팅층)과 제 1 면의 반대측의 제 2 면의 제 2 하드 코팅층이 상이한 것이어도 된다. 제 1 하드 코팅층과 제 2 하드 코팅층이 상이한 경우에는, 각각 별도의 기능을 갖게 할 수 있다. 양면의 하드 코팅층이 동일한 것인 편이, 제조가 용이하다.
[0033]지지체로서, 수지 필름의 양면에 하드 코팅층을 형성하는 경우, 수지 필름의 편면에 하드 코팅용 조성물을 도포하고, 경화시키는 방법에 의해 형성할 수 있다. 하드 코팅용 조성물로서는, 예를 들면 광경화형 (메타)아크릴레이트 모노머나 올리고머와, 중합 개시제를 포함하고, 통상은 용제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들 수 있다. 중합 개시제로서는 통상, 광중합 개시제가 이용되고, 경화는 자외선을 조사함으로써 행해진다.
[0034]지지체로서, 수지 필름의 양면에 하드 코팅층을 형성한 것을 이용하는 경우, 대수(對水) 접촉각차는, 하드 코팅층을 형성할 때의 경화 조건에 의해 조정할 수 있고, 예를 들면 자외선 경화 시에 질소 퍼지하면서 하드 코팅층을 형성하거나, 하드 코팅층을 형성하기 위한 조성물로서 중합 개시제를 많이 첨가한 것을 사용하거나 하면, 대수 접촉각차를 작게 할 수 있다. 또한, 하드 코팅층을 형성한 후의 세정에 의해서도 조정할 수 있고, 하드 코팅층을 형성한 후에 유기 용제로 세정함으로써, 대수 접촉각차를 작게 할 수 있다.
[0035]지지체는, 상기 투명 수지 필름과의 적층면(즉, 제 1 하드 코팅층의 표면)의 대수 접촉각을 A, 또한 당해 적층면을 γ-부티로락톤으로 세정하고, 건조시킨 후에 측정한 대수 접촉각을 B로 하면, |B-A|가 8.0° 이하인 것을 필요로 한다. 대수 접촉각 A와 B를 상기와 같이 제어하면, 투명 수지 필름의 백탁도 방지할 수 있다. 지지체 표면을 γ-부티로락톤으로의 세정 전후의 대수 접촉각의 차, 즉 |B-A|의 값은 바람직하게는 0~3.5°, 보다 바람직하게는 0~3.0°, 더 바람직하게는 0~2.0°, 특히 바람직하게는 0~1.0°이다. |B-A|의 값이 8.0°보다 크면, 투명 수지 필름 표면에 백탁 현상이 발생하는 경우가 많아진다.
[0036]여기서, 「백탁」이란, 지지체로부터 박리한 후에 얻어지는 투명 수지 필름을 3,000루멘 이상의 고휘도 램프로 관찰하였을 때에 시인할 수 있는 레벨의 백탁을 말하고, 그 측정 방법은, 지지체로부터 박리한 후의 필름에 있어서, 지지체측 표면의 일부를 클린룸용 웨이스트로 세정한 후, 광속 3,000루멘 이상의 고휘도 라이트를 이용하여, 실시예에 기재된 백탁의 평가 기준에 따라 필름의 외관(백탁)을 육안 평가함으로써 확인할 수 있다.
[0037]수지 바니시를 지지체에 도포할 때의, 지지체의 제 1 하드 코팅층의 표면(수지 바니시를 도포하는 측)의 대수 접촉각은 바람직하게는 50~120°, 보다 바람직하게는 60~110°, 더 바람직하게는 70~100°이다. 지지체의 제 1 하드 코팅층의 표면의 대수 접촉각이 상기 범위에 있으면, 도포한 수지 바니시의 단부가 얇게 퍼지지 않아, 지지체로부터 박리한 후의 수지 필름의 단부로부터 필름편의 발진(發塵)이 많아지는 것에 의한, 공정 오염의 원인이 되기 어려운 경향이 있고, 또한, 지지체로부터 박리하여 얻어지는 수지 필름 표면의 접촉각도 높아지기 어려운 경향이 있어, 수지 필름을 후공정에서 하드 코팅 도공 등의 표면 처리를 실시할 때에, 도공 불량 등의 문제가 발생할 우려가 적어진다.
[0038]대수 접촉각은, 물체의 표면의 친수성(또는 소수성)을 평가하기 위해, 물체의 표면에 수적(水滴)을 떨어뜨려, 수적이 표면과 접하는 각도를 측정하는 것이며, 본 발명에서는 교와계면화학주식회사제(製)의 접촉각계 DM500로 θ/2법으로 초순수를 이용하여 행한다. 보다 상세한 측정 방법은, 실시예에 기재한다. 또한, 대수 접촉각 B는, 지지체의 투명 수지 필름과의 적층면측 표면에 γ-부티로락톤을 적하한 후 일정 시간 경과 후, γ-부티로락톤을 스며들게 한 클린룸용 웨이스트로 세정하고, 추가로 표면에 남은 γ-부티로락톤을 건조시킨 후, 물을 적하하여 대수 접촉각을 마찬가지로 측정하여 얻어지는 것이며, γ-부티로락톤으로 표면을 세정한 후의 친수성(또는 소수성)을 평가한다. 이 대수 접촉각 B의 보다 상세한 측정 방법도 실시예 중에 기재한다. 측정 오차의 영향을 작게 하기 위해, 대수 접촉각은 10회 이상 측정하고, 그 평균값을 A 혹은 B로 한다.
[0039]본 발명에 유용한 양면 하드 코팅층을 가지는 지지체는, 시판품으로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레이(주)로부터 터프톱(등록상표)의 이름으로 시판되고 있는 하드 코팅 필름, (주)기모토로부터 KB 필름(등록상표)의 이름으로 시판되고 있는 하드 코팅 필름, 및 도요클로스(주)로부터 토클로(등록상표) HC 필름의 이름으로 시판되고 있는 하드 코팅 필름 등을 들 수 있다.
[0040]지지체는, 투명 수지 필름(2)과 접촉하는 측(즉, 제 1 하드 코팅층)의 마텐스 경도가 300N/㎜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지지체의 제 1 하드 코팅층과 반대인 면의 제 2 하드 코팅층의 마텐스 경도는, 제 1 하드 코팅층의 마텐스 경도와 동일하거나 상이하게 되어 있어도 되지만, 동일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0041]마텐스 경도는, 소정 크기의 샘플을 유리에 첩합(貼合)한 것을, 23℃ 55% RH의 분위기에 있어서, 초미소 경도 시험기(FISCHERSCOPE HM2000: (주)피셔인스트루먼트제)를 이용하고, 비커스 압자를 사용하여, 0.5mN/5초의 가압 속도로 하중을 인가한 후, 0.5mN의 하중을 유지한 채 5초간 보지(保持)하여 측정한 값이다. 자세한 마텐스 경도의 측정 방법은, 실시예에 기재한다.
[0042]본 발명에서는, 마텐스 경도는, 바람직하게는 300N/㎜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350N/㎜ 이상, 더 바람직하게는 380N/㎜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400N/㎜ 이상이다. 마텐스 경도의 상한값은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하드 코팅층을 구비한 지지체의 경우, 마텐스 경도가 지나치게 높으면 반송 중에 하드 코팅층이 깨질 우려가 있어, 통상은 700N/㎜ 이하, 바람직하게는 650N/㎜ 이하, 더 바람직하게는 600N/㎜ 이하이다. 지지체의 투명 수지 필름과 접촉하는 측(즉, 제 1 하드 코팅층)의 마텐스 경도가 300N/㎜ 이상이면, 가이드 롤 등의 롤 상에 존재하는 상처가, 지지체 상에 전사되고, 그것이 그 후에 형성되는 투명 수지 필름에도 전사되는 것 같은, 상처가 생기기 어려워진다. 그 일례를 도 3에 나타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투명 수지 필름의 상처란, 지지체로부터 박리한 투명 수지 필름을 3,000루멘 이상의 고휘도 램프를 조사하여 상처의 유무를 육안으로 확인하여, 상처가 있는 것이 확인된 경우를 의미한다. 통상, 광학 용도의 필름에서는 형광등 하에서 상처 등의 외관 품질을 평가하는 경우가 많지만, 화상 표시 장치의 시인측, 특히, 전면판으로서 사용되는(윈도우 필름) 경우에는, 외관 품질의 요구 수준이 높아, 형광등 하에서는 시인할 수 없는 상처도 억제할 필요가 있다. 3,000루멘 이상의 고휘도 램프이면, 형광등 하에서 시인되는 상처뿐만 아니라, 더 시인성이 약한 상처의 유무도 평가 가능하다.
[0043]본 발명의 지지체는, 표면(투명 수지 필름과 접촉하는 측(즉, 제 1 하드 코팅층))의 산술 평균 조도(Ra)가 소정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산술 평균 조도(Ra)는 접촉식 조도계를 이용하여 측정되고, JIS B 0601-2001에 준거한다. 지지체의 표면은, 산술 평균 조도(Ra)가 0.01㎛ 이하, 바람직하게는 0.008㎛ 이하, 더 바람직하게는 0.006㎛ 이하이다. 투명 수지 필름에 접촉하는 측, 즉 표면은, 그 형상이 투명 수지 필름의 표면에 전사되기 때문에, 지지체의 표면의 산술 평균 조도(Ra)가 작을수록 투명 수지 필름의 광택감이 얻어지기 쉬워져, 화상 표시 장치에 배치하는 경우에 적합하다. 지지체의 표면의 산술 평균 조도(Ra)의 하한값은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작을수록 좋다.
[0044]본 발명의 지지체는, 표면의 최대 높이(Rz)가 소정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최대 높이(Rz)는 접촉식 조도계를 이용하여 측정되고, JIS B 0601-2001에 준거한다. 지지체의 표면의 최대 높이(Rz)가 0.1㎛ 이하, 바람직하게는 0.08㎛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0.05㎛ 이하이다. 투명 수지 필름에 접촉하는 측(즉, 제 1 하드 코팅층)은, 그 형상이 투명 수지 필름의 표면에 전사되기 때문에, 지지체의 표면의 최대 높이(Rz)가 큰 경우, 투명 수지 필름의 표면의 국소적인 요철 높이도 커져 거친 표면이 되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지지체의 표면(즉, 제 1 하드 코팅층)의 최대 높이(Rz)는 작을수록 좋고, 특히, 화상 표시 장치에 배치하는 경우에 바람직하다. 지지체의 표면의 최대 높이(Rz)의 하한값은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작을수록 좋다.
[0045]상기 지지체의 제 2 하드 코팅층(투명 수지 필름과 접촉하지 않는 측)의 표면의 산술 평균 조도(Ra) 및 최대 높이(Rz)는, 모두 제 1 하드 코팅층의 값과 동일하거나 상이해도 되지만, 동일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0046]투명 수지 필름
[0047]본 발명의 적층체를 구성하는 투명 수지 필름은, 폴리이미드, 폴리아미드 및 폴리아미드이미드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을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진다.
[0048]본 명세서에 있어서, 폴리이미드는, 이미드기를 포함하는 반복 구조 단위를 함유하는 중합체를 나타내고, 폴리아미드이미드는, 이미드기를 포함하는 반복 구조 단위와 아미드기를 포함하는 반복 구조 단위와의 양방을 함유하는 중합체를 나타내고, 폴리아미드는, 아미드기를 포함하는 반복 구조 단위를 함유하는 중합체를 나타낸다. 폴리이미드계 고분자는, 폴리이미드 및 폴리아미드이미드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중합체를 나타낸다.
[0049]본 실시 형태와 관련된 폴리이미드계 고분자는, 식 (10)으로 나타나는 반복 구조 단위를 가진다. 여기서, G는 4가의 유기기를 나타내고, A는 2가의 유기기를 나타낸다. G 및/또는 A는, 상이한 2종류 이상의 식 (10)으로 나타나는 반복 구조 단위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와 관련된 폴리이미드계 고분자는, 얻어지는 투명 수지 필름의 각종 물성을 해치지 않는 범위에서, 식 (11), 식 (12), 및 식 (13) 중 어느 것으로 나타나는 반복 구조 단위의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0050]폴리이미드계 고분자의 주된 구조 단위가 식 (10)으로 나타나는 반복 구조 단위이면, 투명 수지 필름의 강도 및 투명성의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본 실시 형태와 관련된 폴리이미드계 고분자에 있어서, 식 (10)으로 나타나는 반복 구조 단위의 구성 비율은, 폴리이미드계 고분자의 전체 반복 구조 단위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40몰%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50몰% 이상, 더 바람직하게는 70몰%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90몰% 이상, 특히 더 바람직하게는 98몰% 이상이다. 식 (10)으로 나타나는 반복 구조 단위의 구성 비율은 100몰%여도 된다.
[0051]
[0052]G 및 G1은, 각각 독립적으로, 4가의 유기기를 나타내고,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4~40의 4가의 유기기를 나타낸다. 상기 유기기는, 탄화수소기 또는 불소 치환된 탄화수소기로 치환되어 있어도 되고, 그 경우, 탄화수소기 및 불소 치환된 탄화수소기의 탄소수는 바람직하게는 1~8이다. G 및 G1로서는, 식 (20), 식 (21), 식 (22), 식 (23), 식 (24), 식 (25), 식 (26), 식 (27), 식 (28) 또는 식 (29)로 나타나는 기 및 4가의 탄소수 6 이하의 쇄식 탄화수소기가 예시된다. 식 중의 *은 결합손을 나타내고, Z는, 단결합, -O-, -CH2-, -CH2-CH2-, -CH(CH3)-, -C(CH3)2-, -C(CF3)2-, -Ar-, -SO2-, -CO-, -O-Ar-O-, -Ar-O-Ar-, -Ar-CH2-Ar-, -Ar-C(CH3)2-Ar- 또는 -Ar-SO2-Ar-을 나타낸다. Ar은 불소 원자로 치환되어 있어도 되는 탄소수 6~20의 아릴렌기를 나타내고, 구체예로서는 페닐렌기를 들 수 있다. 얻어지는 투명 수지 필름의 황색도를 억제하기 쉬운 점에서, G 및 G1로서는, 바람직하게는 식 (20), 식 (21), 식 (22), 식 (23), 식 (24), 식 (25), 식 (26) 또는 식 (27)로 나타나는 기를 들 수 있다.
[0053]
[0054]G2는 3가의 유기기를 나타내고,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4~40의 3가의 유기기를 나타낸다. 상기 유기기는, 탄화수소기 또는 불소 치환된 탄화수소기로 치환되어 있어도 되고, 그 경우, 탄화수소기 및 불소 치환된 탄화수소기의 탄소수는 바람직하게는 1~8이다. G2로서는, 식 (20), 식 (21), 식 (22), 식 (23), 식 (24), 식 (25), 식 (26), 식 (27), 식 (28) 또는 식 (29)로 나타나는 기의 결합손의 어느 하나가 수소 원자로 치환된 기 및 3가의 탄소수 6 이하의 쇄식 탄화수소기가 예시된다. 식 중의 Z의 예는, G에 관한 기술(記述)에 있어서의 Z의 예와 동일하다.
[0055]G3은 2가의 유기기를 나타내고,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4~40의 2가의 유기기를 나타낸다. 상기 유기기는, 탄화수소기 또는 불소 치환된 탄화수소기로 치환되어 있어도 되고, 그 경우, 탄화수소기 및 불소 치환된 탄화수소기의 탄소수는 바람직하게는 1~8이다. G3으로서는, 식 (20), 식 (21), 식 (22), 식 (23), 식 (24), 식 (25), 식 (26), 식 (27), 식 (28) 또는 식 (29)로 나타나는 기의 결합손 중, 인